1. 스위칭 허브
허브는 IP를 할당하는 기능이 없으며 데이터만 전송해줍니다.
2. 공유기
기본적으로 인터넷을 가입하면 통신사에서 1개의 ip를 할당해 줍니다.
1개의 ip로 집에 있는 여러 대의 기기들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
해주기 위해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
공유기에는 NAT와 DHCP 서버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데요
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서
1개의 공인 IP에 다수의 사설 IP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입니다.
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서
1개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를 할당해주는 기능입니다.
심플하게 정리하면 1개의 IP로 여러 대의 기기를 인터넷을
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입니다.
3. 내부 네트워크 구성 방법
내부 네트워크는 보통
(O)통신사 모뎀> 공유기> 허브
이런 구성으로 연결되어있으며 이렇게 연결해야 합니다.
(X) 통신사 모뎀> 허브> 공유기
이렇게는 연결해도 IP가 할당되지 않음으로 인터넷이
안됩니다.
통신사 인터넷은 모뎀이 단자함에 있는 경우가 많고
케이블 인터넷은 모뎀이 외부(집안)에 있는경우가 많습니다.
위에 있는 구성을 응용하여 단자함이나 케이블모뎀에서
공유기를 연결 후 각방으로 뿌려주거나
나오는 선을 공유기를 연결하고 스위칭 허브에 연결 후
스위칭 허브에서 각 방으로 뿌려주는 방식으로
방에 있는 랜케이블 단자마다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'IT 전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형 아이패드 프로 4세대와 매직 키보드 발표! (0) | 2020.03.19 |
---|---|
전자파 차단 멀티탭 간단 리뷰 (0) | 2020.02.17 |
iOS & iPad OS 13.3.1 / Mac OS 업데이트 후 달라진 점은? (0) | 2020.02.02 |
가격대별 가성비 태블릿 추천 (0) | 2020.01.30 |
가성비 최고 모니터 암 NB F80 2020년 버전 후기 (0) | 2020.01.29 |